경산버스는 최상의 친절 서비스로 최고의 운송환경을 제공합니다.

※ 근거없는 비방을 하거나 상대방에 대한 비방, 욕설 등을 게시하는 경우에는 그 게시물을 삭제 후 관련법에 따라 처리됨을 알려드립니다.


전기버스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근동 (14.♡.194.37) 댓글 1건 조회 241회 작성일 24-12-29 19:20

본문

저는 공학계열 졸업한 사람입니다.
최근 전기 버스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전기버스의 특징은 디젤엔진과 다르게 변속기가 없습니다.

디젤엔진의 버스의 경우 액셀러레이터를 밟게 되면 엔진 내부의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하게 되고, 피스톤과 연결된 크랭크축이 피스톤의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해 줍니다. 이후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샤프트로 전달하고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바퀴가 샤프트의 회전력을 받아 버스가 움직이게 됩니다.
또한 대형차량의 경우 정지 상태에서 움직일 때, 초반에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변속기 필수로 있어 급가속이 더욱더 되지 않습니다.=(생각보다 세게 밟아도 급가속하지 않는 이유.)
하지만 전기버스의 경우 위와 같은 물리 과정이 없이 액셀러레이터를 밟게 되면 곧바로 전기신호가 중앙장치로 보내어 모터가 회전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물리적전달이 아닌 전기신호로 전달하기 때문에 반응이 굉장히 빠릅니다.(전기신호로 전달되는 속도는 거의 빛의 속도와 동일)
액셀러레이터를 세게 밟게 되면 곧바로 중앙장치가 단순하게 전기신호를 더 많이 보내어 모터의 회전량이 많이 설정됩니다.
특히 버스같이 대형차량의 경우 높은 출력을 내기 위해 소형 전기차에 들어가는 모터보다 더 강한 모터를 넣게 됩니다.
그래서 전기버스를 디젤엔진처럼 운전하게 되는 경우, 출발 시 디젤엔진 버스보다 급가속하게 됩니다.

반대로 정지 상황입니다. 전기버스는 액셀러레이터에서 떼게 되는 순간부터 곧바로 모터로 가는 전기신호가 바로 끊기게 됩니다. 액셀러레이터를 세게 밟다가 천천히 떼지 않고 바로 떼게 되면 급하게 돌아가던 모터가 바로 정지하게 됩니다. 여기서 1차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됩니다. 또한 전기버스는 디젤 버스와 다르게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부터 디스크 브레이크뿐만 아니라 회생제동을 위한 전기 브레이크도 같이 작동합니다. 여기서 2차 브레이크인 회생제동과 3차 브레이크인 디스크 브레이크가 같이 작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밟을 시 디젤엔진 버스보다 훨씬 큰 제동력을 제공하게 됩니다.


두 번째, 관성의 법칙입니다.
관성의 법칙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든 물체는 자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정지한 물체는 정지한 채로 유지하려고 하며, 이동(운동)하던 물체는 계속 이동(등속직선운동을) 하려고 합니다.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관성의 법칙을 배울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상황 역시 버스 안에서의 상황입니다.
버스가 출발할 때, 버스는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는 방면, 버스 안에 있는 사람들은 계속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뒤로 쏠리게 됩니다.
반대로 버스가 앞으로 달리다가 멈출 때, 버스는 정지하지만, 사람들은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유지하기 때문에 앞으로 쏠리게 됩니다.
버스가 출발할 때, 정지할 때, 뒤로 쏠리는 현상과 앞으로 쏠리려고 하는 현상은 관성의 법칙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여기서 가정 하나 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전기버스를 디젤엔진 버스처럼 운전하면 어떤 상황이 생기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버스가 출발할 때, 디젤엔진 버스처럼 액셀러레이터를 밟게 되면 변속기가 없고 전기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디젤엔진 버스보다 훨씬 빠르게 급가속하게 됩니다.
급가속하게 되면서 버스는 앞으로 가게 되고, 정지된 사람들은 정지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더 세게 뒤로 쏠리게 됩니다.
반대로 정지할 때, 액셀러레이터를 밟다가 바로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모터의 회전 정지, 디스크 브레이크와 회생제동 동시에 발동되어 훨씬 급감속으로 버스는 멈추게 되지만 버스 안 사람들은 나아가는 힘을 유지하기 때문에 더 세게 앞으로 쏠리게 됩니다.
운전기사님의 경우 출발할 땐 의자가 지지해 주며, 정지할 때는 안전밸트가 지지해 주기 때문에 크게 체감을 하지 못합니다.

즉, 결론은 전기버스는 디젤엔진 버스처럼 운전하는 습관을 버려야 하고, 출발할 때는 더 천천히 더 살살 액셀러레이터를 밟아서 출발해야 하고, 정지할 때는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천천히 뗀 후, 브레이크를 천천히 밟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해당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주행거리도 훨씬 늘어나게 되어 전비 역시 좋아지게 됩니다.

오늘 버스를 타고 오면서 급가속, 급감속으로 서 있던 어린아이(노약자)뿐만 아니라 건장한 사람들도 엄청나게 휘청거리는 장면을 봤는데 한두 번이 아닌 출발 시, 정지 시 매번 그런걸 보니 실수가 아니라 아직 전기버스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210.♡.50.187) 작성일

전기버스 운행시 악셀을 부드럽게 밟을 수 있도로 교육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