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1번, 경산1-1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인구 (182.♡.70.104) 댓글 1건 조회 1,156회 작성일 23-03-15 22:09본문
안녕하세요. 우선, 경산1번과 경산1-1번을 운행해주시는 기사님께 수고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몇 가지 건의사항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경산1번 1순번 7회차 차량의 중간 종료 정류소
아시다시피 경산1번 1순번 7회차 차량은 18시 20분에 한의대에서 출발하여, 한의대까지 가지 않고 19시 50분에 사동에서 종료합니다. 그런데, 사동 종료가 모호하고, 운전하시는 기사님마다 중간 종료 정류소를 다 다르게 운행하셔서 승객 입장에서 혼란이 있습니다. (7531호는 사동중까지, 7370호는 사동부영1차A 건너까지 운행합니다) 중간 종료 폐지는 어렵더라도, 중간 종료 정류소를 명확하게 표시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경산1번 1순번을 운전하시는 기사님 모두 7회차 운행 때 같은 정류소에서 종료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들어 두 차 모두 사동중에서 종료 또는 사동부영1차A 건너에서 종료)
2. 경산1-1번 임당역5번출구 안내방송 누락
109번, 경산1-1번, 경산3번, 압량1번은 임당호반베르디움 앞->임당역5번출구->북부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을 운행하는데, 경산1-1번 노선만 임당역5번출구 안내방송이 누락되었습니다. 즉, 임당호반베르디움 앞 정류장의 다음 정류장이 북부동행정복지센터로 방송이 되고 있는데, 수정이 가능하다면 임당역5번출구 안내방송이 누락되지 않도록 수정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예전에 bis에도 누락이 되었던 것으로 알고 있으나 bis는 수정이 되었더군요) 경산1-1번은 임당역이 주요 수요처이기도 해서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면 몰라도, 처음 이용하는 승객 입장에서는 안내방송 누락에 대해 혼선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정류장 목록 및 노선도
간선 버스 노선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데다가 전체 정류장이 표시된 노선도도 있으며, 주요 경유지를 LED로 표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산1번과 경산1-1번은 모든 차량이 카운티로 운행되고 있어 LED 설치가 불가능한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운행 경로를 알 수 있는 정류장 목록 및 노선도가 부실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노선이 정평한솔 폐지, 임당동-영남대 경유로 노선이 바뀐지 2년이 다 되어 가는데도 아직 정류장 및 홈페이지에는 노선도가 바뀌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순환선 특성상 주요 경유지와 함께 운행 방향이 중요한데, 이 또한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점이 아쉽습니다. 시청에서 관할해야 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차내 노선도 만이라도 화살표로 명확하게 표시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산1번 7370호의 경우에는 주요 경유지가 아에 반대로 적혀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경산1번(시계방향): 한의대→사동중→백천→상방동→경산시장→옥산동→정평역→대평동→임당2동→영남대→임당역→경산시청→등기소→사동중→한의대 / 경산1-1번(반시계방향): 한의대→사동중→등기소→경산시청→임당역→영남대→임당2동→대평동→정평역→옥산동→경산시장→상방동→백천→사동중→한의대)
몇 개월 전에 7369호, 7370호, 7507호가 연두색으로 도색되어 어린이집 통학차량과의 혼동 우려가 해소된 것이 만족스럽습니다. 경산1번과 경산1-1번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노선인 만큼, 건의한 사항들이 수용되어 승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희망합니다. 다시 한 번 경산1번과 경산1-1번 운행을 위해 힘써주시는 기사님들과 관계자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편리하고 안전한 운행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 경산1번 1순번 7회차 차량의 중간 종료 정류소
아시다시피 경산1번 1순번 7회차 차량은 18시 20분에 한의대에서 출발하여, 한의대까지 가지 않고 19시 50분에 사동에서 종료합니다. 그런데, 사동 종료가 모호하고, 운전하시는 기사님마다 중간 종료 정류소를 다 다르게 운행하셔서 승객 입장에서 혼란이 있습니다. (7531호는 사동중까지, 7370호는 사동부영1차A 건너까지 운행합니다) 중간 종료 폐지는 어렵더라도, 중간 종료 정류소를 명확하게 표시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경산1번 1순번을 운전하시는 기사님 모두 7회차 운행 때 같은 정류소에서 종료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들어 두 차 모두 사동중에서 종료 또는 사동부영1차A 건너에서 종료)
2. 경산1-1번 임당역5번출구 안내방송 누락
109번, 경산1-1번, 경산3번, 압량1번은 임당호반베르디움 앞->임당역5번출구->북부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을 운행하는데, 경산1-1번 노선만 임당역5번출구 안내방송이 누락되었습니다. 즉, 임당호반베르디움 앞 정류장의 다음 정류장이 북부동행정복지센터로 방송이 되고 있는데, 수정이 가능하다면 임당역5번출구 안내방송이 누락되지 않도록 수정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예전에 bis에도 누락이 되었던 것으로 알고 있으나 bis는 수정이 되었더군요) 경산1-1번은 임당역이 주요 수요처이기도 해서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면 몰라도, 처음 이용하는 승객 입장에서는 안내방송 누락에 대해 혼선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3. 정류장 목록 및 노선도
간선 버스 노선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데다가 전체 정류장이 표시된 노선도도 있으며, 주요 경유지를 LED로 표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산1번과 경산1-1번은 모든 차량이 카운티로 운행되고 있어 LED 설치가 불가능한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운행 경로를 알 수 있는 정류장 목록 및 노선도가 부실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노선이 정평한솔 폐지, 임당동-영남대 경유로 노선이 바뀐지 2년이 다 되어 가는데도 아직 정류장 및 홈페이지에는 노선도가 바뀌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순환선 특성상 주요 경유지와 함께 운행 방향이 중요한데, 이 또한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점이 아쉽습니다. 시청에서 관할해야 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차내 노선도 만이라도 화살표로 명확하게 표시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산1번 7370호의 경우에는 주요 경유지가 아에 반대로 적혀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경산1번(시계방향): 한의대→사동중→백천→상방동→경산시장→옥산동→정평역→대평동→임당2동→영남대→임당역→경산시청→등기소→사동중→한의대 / 경산1-1번(반시계방향): 한의대→사동중→등기소→경산시청→임당역→영남대→임당2동→대평동→정평역→옥산동→경산시장→상방동→백천→사동중→한의대)
몇 개월 전에 7369호, 7370호, 7507호가 연두색으로 도색되어 어린이집 통학차량과의 혼동 우려가 해소된 것이 만족스럽습니다. 경산1번과 경산1-1번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노선인 만큼, 건의한 사항들이 수용되어 승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희망합니다. 다시 한 번 경산1번과 경산1-1번 운행을 위해 힘써주시는 기사님들과 관계자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편리하고 안전한 운행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승객이 없는데 무엇이 그리 급해서 앞차 승객이 내리고 타는거 기다리지 못하고 핸들을 돌려 정류장을 떠나나요? 23.03.16
- 다음글399혹은 990번 분홍색 동전지갑 분실 23.03.14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210.♡.50.187) 작성일건의사항은 확인하여 시정조치 하여 버스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습니다.